. 2024 업무추진 여건 방향

 

1

 업무추진 여건

 

동포사회 세대교체에 따른 한인 정체성 약화

 

  재외동포 사회의 주력이 이민 1세대에서 2세대 이하 차세대로 교체

 

  후속 세대의 경우 혼혈 다중 정체성을 가진 재외동포 증가

 

거주지역별 상황변화에 따른 재외동포 증감

 

  (러시아) - 전쟁 등의 영향으로 러시아 재외동포 대폭 감소

 

     * 21년 대비 43,715(25.9%) 감소(영주권자·체류자·러 국적 동포 등)

 

  (중국) 경기 침체 등의 사유로 귀국하거나 동남아시아 등지로 이주

 

     * 13년 대비 464,201(18%) 감소(동포 거주 순위가 1위⟶2위로 하락)

 

  (베트남) 우리기업의 투자․진출 증가로 재외동포 대폭 증가

 

     * 13년 대비 92,133(51.7%) 증가(동포 거주 순위가 10위→5위로 상승)

 

                        [ 재외동포 다수 거주 상위 10개국(천명) ]

 

국가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베트남

우즈벡

호주

러시아

카자흐

독일

거주

2,615

2,110

802

247

178

174

160

125

121

50

 

국내 체류 외국국적동포의 정주화 고령화

 

  한국의 선진국 진입, 의료 여건 개선 등으로 귀환 이주 증가

 

     * 국내거소신고 외국국적동포 중 60세 이상 비율 : 37.4%(23.6)

 

[ 연도별 국내 외국국적동포 현황(19~23) ]

Not supported Object.

[ 국적별 국내 외국국적동포 현황(23.12) ]

순위

국가

인원(, %)

1

중국*

656,142 (77.3%)

2

미국

48,837  (5.8%)

3

우즈베키스탄

43,320  (5.1%)

4

러시아

38,369  (4.5%)

5

카자흐스탄

22,426  (2.6%)

6

캐나다

17,923  (2.1%)

* 국내 체류 전체 중국인은 942,395(이중 동포는 70%)
[출처: 법무부]

우리국민의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는 높지 않은 수준

 

[ 재외동포에 대한 내국인 인식조사 결과(22) ]

 

구 분

긍 정

보 통

부 정

재외동포에 대한 호감도

29.4% (1731.7%)

57.8% (1750.9%)

12.8% (1717.4%)

중국동포(조선족)에 대한 인식

14.9%

30.9%

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