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작성요령 |
□『이력서』는 아래의 요령에 따라 작성하여야 합니다.
※ 지원분야별 지원자격요건 및 우대요건이 상이합니다. 이에 상기 이력서는 지원자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온라인 지원서 상에는 선택하신 지원분야별 자격요건 및 우대요건에 따라 일부항목(자격증, 논문 등)이 생략될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본인의 지원분야별 해당 자격조건 및 우대사항을 확인하시고 이력서에 정확하게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경력】 응시자격 및 우대요건에 해당하는 경력을 모두 기재
- 경력사항 기재 시 구분란에서 응시자격과 우대요건 중 해당하는 부분을 선택 후 기재하여야 함
(예시) 교류협력 C 분야 경력 요건 중 6년 이상 임용예정 직무분야의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응시하는 자가 관련 직무분야에서 10년의 경력이 있을 시, 응시자격에 해당하는 6년의 경력은 응시자격 경력을 선택하여 세부내용을 기입하고, 응시자격요건 충족 이후 4년의 경력은 우대요건 경력을 선택하여 세부내용을 경력란에 기재)
- 담당예정업무와 관련된 경력 및 실적을 기재하여야 함
* 본인이 기재한 사항에 대해서는 사실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니 증빙 가능한 사실만 기재
※ 현재 근무중인 경력은 최종시험(면접) 예정일(‘23. 6. 30.)을 근무기간 종료일로 기재하되, 서류 제출 이후 퇴사ㆍ이직 등으로 경력요건 미충족 시 최종합격에서 제외될 수 있음
- 경력기간중 휴직기간이 포함되었을 경우 휴직기간 및 사유를 별도 기재하여야 함
- 직급(위)은 재직기간 중에 있었던 모든 직급(위)을 나누어 기재하여야 함
- 근무형태는 ‘전임’ 또는 ‘시간제’으로 표시하되, 시간제일 경우 주당 근무시간 표시, 시간제 근무의 경우 근무시간에 비례해서 경력의 일부를 인정할 수 있음
* 예시) 계약직으로 4년간 주 20시간 시간제 근무 : 2년 인정
【학위】 응시자격요건에 해당하는 학위만 기재
- 학위 취득예정자의 경우 최종시험(면접) 예정일(‘23. 6. 30.)기준으로 학위를 취득하여야 하며, 전공ㆍ학위구분(석사/박사)ㆍ취득(예정)일을 반드시 기재하여야 함